디자이너의 git & github 고군분투 정복기
dev

 

01

Git : 소스 이력 추적을 위한 버전 관리 시스템

Github : git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저장소 제공

 

 

 

02

Git 설치법

 

1) 터미널 실행

2) xcode-select --install 입력 후 실행

3) brew 설치

4) git credential manager 설치

 

...라고 한다. 차근차근 따라해보자..

 

 

 

1) 터미널 및 터미널 대체제 설치 후 실행

 

강의에서는 터미널 대신 iTerm을 설치하라고 했는데, 나는 과외쌤ㅋ인 멋쟁이 서버개발자님의 추천을 받아 Warp 라는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했다!

 

(왜 굳이 터미널 두고 다른걸 쓰는지 궁금해서 과외쌤 및 개발자 칭긔들에게 물어봤다.)

iTerm, Warp 이 두 프로그램은 Mac의 기본 터미널 대신 활용할 수 있는 터미널 프로그램들이며, 다양한 확장성 및 편의기능을 제공한다.

한마디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고 ...  물론 기본 터미널을 쓰는 개발자들도 많은 듯 싶다.

 

iTerm  https://iterm2.com/

 

iTerm2 - macOS Terminal Replacement

iTerm2 by George Nachman. Website by Matthew Freeman, George Nachman, and James A. Rosen. Website updated and optimized by HexBrain

iterm2.com

 

Warp  https://www.warp.dev/

 

Warp: The intelligent terminal

Warp is the intelligent terminal with AI and your dev team's knowledge built-in. Available now on MacOS and Linux.

www.warp.dev

 

 

서버 개발자들 같은 경우는 터미널을 7-8개씩 띄워두곤 한다는데, Warp는 이 멀티터미널 기능을 제공한다고 함.. (근데 사실 나같은 초보는 쓸 일 없음)

iTerm 말고 이 녀석을 선택한 이유는 단순함..  인터페이스가 너무 예쁘다!

 

 

디자이너 특.. UI 안예쁘면 괜히 쓰기 싫음

 

 

아무튼 터미널이든 iTerm이든 Warp든 뭐든 깔고 난 후에, 이제 정말 깃을 설치하기 위해 일단 설치 명령어를 실행한다.

 

2) xcode-select --install 입력 후 엔터

xcode-select --install

(뭐 대충 설치됐다고 뜬 것 같아서 다음줄로 넘어갔다)

3) brew 설치 명령어 실행

/bin/bash -c "$(curl -fsSL 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
ㅎ 근데 password 입력에서 무한 에러남

(참고로 한글로 되어있으면 당근 안된다! 영문 입력인지 꼭 확인 + 패스워드 입력이 안되는 것처럼 보이는 게 정상, 보안때문에 그렇고 다 되고 있음~)

 

 

원래 이거 컴퓨터(맥) 비번 입력하는거 아니었어요? 무한 시도 끝에 패배 후 구글링을 했다..

 

알고보니 "프로그램 설치 시에는 sudo 명령을 써야 하기에, 루트 계정의 비밀번호가 필요" 하단다..

(뭔말이지)

구글링 후 친절한 분들의 설명대로 따라서 직접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었다.

 

1. sudo-s 입력 후, 컴퓨터 비번을 입력

2. 그럼  계정명 (나는 XXX의노트북으로 나옴)# 으로 바뀌고

3. 루트 계정이 맞는지 확인하고 싶으면 # 다음에 whoami 를 입력

4. root 라고 나오면 루트계정에 들어간 것이 맞음!

5. passwd root 입력

6. 새 비번 설정 후 비번 확인

7. 밑에 무슨 경고창 뜨는데 상관없는 것 같다 (괜히 식겁)

8. exit 입력하여 종료!

 

9. 이후 다시 명령어 입력하여 brew 설치를 이어가면 된다.

/bin/bash -c "$(curl -fsSL 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
 

 

10. 그럼 brew 설치가 된다...

/opt/homebrew/bin/brew

...

/opt/homebrew

 

뭐시기 코드들이 뜨고 Enter 키를 눌러서 설치완료

 

11. 그리고 사용자 등록 과정이 필요함

 

왜? 이 작업을 누가 했는지 이력 추적을 해야 함!

 
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{이름영문으로}"
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{이또한영문으로}"

git config --list 를 입력해주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면서 잘 등록되었는지 확인해준다~

아 힘드러 ㅎ

 

4) git credential manager 설치

 

brew tap microsoft/git

brew install --cask git-credential-manager-core

 

패스워드 입력하라고 뜨면 입력하면 됨

그럼 드디어 맥주 이모지가 뜨면서 다 끝났다... 

 

 

 

-

학부때 깃 공포증이 생겼어서 잔뜩 긴장하면서 설치했는데 그때 너무 어렵게 배웠던 것 같다..

하라는 대로 코드만 타닥타닥.. 쓰니까 어려운 건 없네요

 

물론 패스워드에서 에러가 잔뜩 나서 땀났지만; ㅎ 에러는 무서워 ~

휴 힘들다 오늘은 여기까지 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