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이글
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알면 좋은 HTML
dev

 

HTML : 텍스트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

 

            내용ㄱ

<p> 안녕하세요 :) </p>

ㄴ여는태그              ㄴ닫는태그

 

 

1. HTML 속성

<p class="memo">안녕하세요 :)</p>

      : HTML 속성

       속성이름="속성값"   => 여러 속성을 작성할 때는 한 칸씩 띄고 작성하면 됨

 

 

2. HTML 주석

: 작성은 되어있는 코드를 브라우저에 뜨지 않도록 무시

<!-- <p>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!</p> -->

 

but.. 브라우저에 나오지 않는다고 주석을 남용하면 안됨

.html 파일은 주석을 포함한 모든 정보를 가져오기 때문에, 보안에 유의해야 함.

 

 

3. HTML 문서구조

: Boilerplate라고 통칭함.

 

<!DOCTYPE html>   : html문서라는 것을 선언. 일반적으로 제일 첫줄에 기록.

<html lang="ko">     : 어떤 언어로 시작되었는지

<head>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: 브라우저에 나타나지 않음. 설정의 성격.

       <meta charset="UTF-8">

       <meta http-equiv ~>

       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", initial-scale=1.0">

       <title>제목</title>

</head>

<body>

     내용

</body>

</html>

 

 

04. HTML 요소

: Block  vs  Inline

 

- Block요소 : 태그 자기 자신 앞뒤에 라인을 구분하고, 브라우저에서 하나의 면을 차지하는 요소.

ex) <h1> <h2> <h3> <p> <ol> <ul> <li> <div>..

- Inline요소 : 줄을 바꾸지 않고, 특정 텍스트 영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소

ex) <a> <span>

 

05. Body

 

heading 태그

  • 제목적인 성격을 띄고 있음
  • <h1> ~ <h6>까지 있음
  • 통상적으로는 1~3까지 사용함
  • 글씨를 키우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님. 필요하면 css 사용

paragraph 태그

  • 같은 주제면 <p>태그로 감싸서 사용할 수 있음

line break 태그

  • <br>
  • <p>태그 내에서 줄바꿈 할 때 사용
  • 엔터로 쓰면 먹히지 않음

list 태그

  • <ol> : ordered list, 전체적인 리스트를 만듦
  • <ul> : unordered list, 전체적인 리스트를 만드나 순서가 매겨지지 않음 (숫자X)
  • <li> : <ol>과 <ul> 내부의 리스트들

anchor 태그

  • <a>
  •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다른 요소에 포함되어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
  • 외부로 연결되는 링크를 걸 수 있음
  • 형태 : <a href="연결할 링크"> 텍스트 </a>
  • 링크를 새 창으로 띄우고 싶을 때 : <a href="연결할 링크" target="_blank"> 텍스트 </a>

span 태그

  • <span>
  • 일부만 선택하여 일부에 영향을 주고 싶을 때 사용
  • 보통 class 속성 즉, css나 js와 함께 써서 스타일을 주는데 사용
  • <p><span class="">안녕</span>하세요</p>

div 태그

  • <div>
  • 여러가지 요소들을 묶어서 그룹화 하는 기능. ctrl+g 처럼..
  • <span>은 텍스트의 일부 단위, <div>는 태그(html 요소) 단위를 묶어서 관리
  • 주로 class 속성을 활용하여 사용..